드림빌더 독서소모임 덕에 오랜....만에 독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굿바이 동물원

저자
강태식 지음
출판사
한겨레출판사 | 2012-07-13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동물원 같은 도시의 삶에 지친 사람들을 위하여!제17회 한겨레문...
가격비교

 

왠지 조금은 만화책 같아 보이는 표지, 고릴라 탈을 쓴 뒷모습.

장난스럽고 가벼운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보였다.

그러나 역시 무서운 것은 가벼운 이야기 속에 담긴 무거운 우리 세상의 모습~

쉽게 읽히면서도 생각할 거리는 정말 많은 책이었다.

 

 

- 동물원?

 

작가는 제목에서부터 이 책이 '동물원'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다룰 것이라고 암시한다. 동물을 다룬다라... 우화 같은 이야기겠거니하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동물원이라면 꿈과 희망의 상징이지 않겠어? 그렇기 때문에 독자들은 쉽게 방심하고 책장을 열게 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인간 사회'를 살아가며 '인간 사회'의 부정적인 면을 발견한다. 끊임없는 경쟁과 배신, 돈이 최고가 된 물질만능주의. 이런 '인간 사회'에서 고통을 맛 본 사람들이 '인간 구실'을 하기 위해 모이는 곳이 바로 '동물원'이라는 공간이다.

 

그런데 이 '동물원'.. 과연 꿈과 희망의 장소일까? 이 책에서 동물원은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동물원의 이름도 '세렝게티' 동물원이다. 자연인 척 하지만 결국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인위적 공간 '동물원'. 여기에서 동물원이라는 무대의 역설적인 모습이 극에 달하게 되는 것이다.

 

작품에서 동물원은 여러번 독자를 배신한다. 동물원의 동물들이 사실은 동물의 탈을 쓴 인간들이다. 또한 동물원은 철저한 성과급 체제로 이루어져있어 동물들은 위험한, 혹은 무모한 과제를 성공해야 비로소 '인간 구실'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작품 속에 등장하는 동물원은 인간 사회, 직장을 그대로 옮겨놓은 차가운 '현실 사회'이다.

 

특히 동물원에서 동물로 일한다는 것은 하나의 '서비스업' 종사자가 되는 것에 불과하다. 작품에 언급되었듯 사람들이 동물원에 가는 이유는 자연 그대로의 동물을 만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바라는 모습의 동물을 보기 위해서이다.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엄연히 인간인 그들은 동물의 탈을 쓰고 동물을 흉내낸다. 어디서 많이 본 이야기 아닌가...? 이런 모습을 보며 기분이 떨떠름해졌다면 이것이 바로 우리가 사회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그러하기 때문일 것이다. 상대가 원하는 나를 연기하는 것... 결국 우리 사회 아닐까.

 

 

- 고릴라?

 

하지만 웬일인지 '인간 사회'를 그대로 투영하는 '동물원'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인간 사회의 부조리함을 자각하고 각자의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왜? 무엇이 진짜 인간 사회와 다르기에 그들은 이 사회의 문제점을 깨닫게 되는 것일까?

그건 아무래도 이들 동물들 사이에서 어떠한 유대감과 공감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들은 각자의 이유로 진짜 사회에서 분리되었고 인간이면서도 고릴라를 연기했다. 비록 연기이지만 조금이라도 자연과 가까운 삶을 사는 동안 그들 사이에 어떠한 신뢰가 쌓인 것이 아닐까. 혹은 자연 본연의 도리를 회복한 것은 아닐까~

 

실제로 현대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쟁구도가 동물원에서 일하는 고릴라들에겐 존재하지 않는다. 그 예로 등장인물 조풍년씨가 허리를 다쳤을 때 다른 동료들이 그를 대신해 버튼을 눌러주기도 하였고 또한 만딩고가 동물원을 떠난다고 했을 때 그들은 온갖 방법을 동원해 그를 저지하려 한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동물원'이 인간 사회의 매정한 규칙을 가지고는 있지만 그 속에는 진짜 인간 사회와는 다른 어떠한 '정'이 존재했고, 그렇기 때문에 등장인물들이 사회의 부조리함을 깨닫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 콩고?

 

작가가 궁극적으로 제시하는 해결책은 바로 콩고, 즉 자연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조금은 판타지적이지만 진정한 자유를 누리고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곳은 바로 콩고로 설정된 공간이다. 때문에 사회의 쓴 맛과 고독의 정점을 경험한 동물원 사람들은 만딩고의 행복한 모습을 보며 문명사회의 구성원이 되는 것을 포기하고 콩고로 떠나 진짜 동물로서의 삶을 산다.

 

그곳은 돈도 경쟁도 없는 곳으로, '사람 구실'을 하겠다고 아등바등 살 필요가 없다. 그저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동물로의 삶을 살지만 실은 진짜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콩고로 떠나는 것은 너무나 도피성 짙은 해결방안이라는 것이다...ㅠㅜ

전반적으로 작품 속에서 작가는 현대 사회의 병폐를 잘 짚어냈고 풍자해 놓았는데 궁극적으로 제시한 해결이 너무 초현실적이라 김이 빠졌달까. 사회가 썩어 빠졌다고 모두가 이걸 버리고 떠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떠한 문제상황에 부딪혔을 때 그것을 포기하기보다는 조금이라도 좋은 방향으로 변화해 나갈 수 있게 방법을 제시하고 노력해 나가는게 좀더 성숙하고 현실적인 대응책이 아닐까.

 

 

- 각자의 결말

 

만딩고는 콩고로 떠난다. 가장 행복한 세계로 묘사되는 자연으로.

하지만 주인공 영수는 동물원에 남는다. 그 둘의 차이점은 뭐였을까, 바로 영수에겐 부양할 부인과 뱃속의 아이가 있다는 점이다. 이런 모습에서 알고는 있지만 떠날 수 없는 나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안타깝기도 하고, 어쩌면 더 현실적이기에 공감이 간다. 아무래도 작가가 영수의 결말을 참 많이 고민했을 것 같다. 어찌됐든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시 이 사회에 남게되지 않을까... 그렇기 때문에 주인공 영수는 동물원에 남게 되는 것으로 끝나지 않을까?

 

특히 그 전까지 영수의 시점에서 서술되던 것이 마지막 부분에서는 전지적인 시점으로 변화하여 세렝게티 동물원의 고릴라를 설명한다. 이러한 시점의 변화를 통해 여기 나오는 영수는 가상의 인물이 아닌, 책을 읽고있는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

 

그리고 또 다른 등장인물인 조풍년씨는 외상으로 인한 정신문제로 동물원은 그만두지만 동물원과 다를 바 없는 고깃집 영업일을 하게된다. 이번에는 고릴라가 아닌 돼지 탈을 쓰고... 그는 처음부터 인간 서로가 서로를 배신하는 '인간 사회'보다는 상호 신뢰가 있는 '동물원'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그도 결국은 궁극적인 단계의 자연으로 가지 않고 '동물원'에 머무르는 것을 택한 건 아닐까~

 

가장 의아한 캐릭터는 역시 앤이다. 앤은 결국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다. 그녀는 '동물원'에서 다시 '사회'를 택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녀는 주인공에게 '영희언니'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도 철저히 진실을 숨긴다. 그리고 겉으로는 더이상 영희언니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여전히 무협소설을 읽고 커피의 쓴 맛에 둔감하다. 작품 캐릭터 중 가장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고할까~ 아무래도 그녀는 공무원이 되어 정장을 입고 다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기를 택한 것 같다. 알지만 모르는 척 무덤덤할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하며.

 

결말에서 또 아쉬운 점이 있다면~ 영수에게 아이가 생기며 끝난다는 것? 새생명의 잉태와 희망을 꿈꾸는 것...... 사실 조금 식상하달까용

 

 

- 사람구실하며 살기 & 사람답게 살기

 

사람이 태어날 때 어떤 '구실'을 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닌데 우리 사회는 돈 못버는 사람들을 무능력한 사람, 사람 구실 못 하는 사람으로 치부한다. 사람이 무엇때문에 세상에 존재하는가? 사람 구실하며 살기 위해? 사람 답게 살기 위해?

 

 

- 사육사

 

더이상 인간을 인간으로 보지 않는 모습.

이러한 모습은 부인과 동물원에 갔을 때를 회상하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다. '저 동물이 얼마짜린 줄 알아?' 인간보다 돈을 벌어 올 수 있는 상품(동물)의 가치가 우선시 되는 사회 모습의 일면인 것 같다.

 

 

- 돼지엄마와 소생?

 

사실 둘 다 뭔지 잘 모르겠다 ㅠㅜㅠㅜ

이야기하면서 사회에서 동물원, 동물원에서 콩고로 이동을 하는 데에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아냈고....

그리고 또 돼지엄마는 첫인상이 좋았으나 후에 보니 부정적인 사람!이 되었고

소생은 반대로 첫인상은 섬뜩했으나 후에 지나고보니 괜찮은 사람이었다는 것 정도.......

 

특히 돼지엄마는 작품 전체를 통해 계속해서 나오고, 등장인물들을 연결해주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을텐데......

gg

 

 

- 여성

 

작품에 나오는 여성들은 모두 부정적인 것 같다.

특히 나는 초반에 주인고의 아내가 참 공감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남편과 정서적 교감이 전혀 되지 않고 있단 느낌. 자기만 생각하고 때로는 바보..같기도 하고.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모성애를 통해 (본드에서?) 구원받는다......? 여성=모성애라는 고리타분한 시각에서 나온 발상같다는 생각을 했다.

돼지엄마도, 어쨌든 사회로 돌아간 앤도 긍정적인 캐릭터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남성작가가 가지는 어쩔 수 없는 한계점을 발견한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다.

 

 

- 굿바이 동물원

 

책을 읽으며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우리 세상을 바라보는 작가의 뛰어난 통찰력이었다. 사회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관찰이 빚어낸 것이겠지. 그리고 그것을 교묘~하게 풍자해 나가는 필력. 덕분에 독자들은 책을 통해 '인간 사회'의 부정적인 면들을 와닿게 공감하고 그것들을 깨달아간다. 덕분에 우리는 동물 탈을 쓰지 않아도 '동물원'이라는 공간에 선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콩고'행 티켓을 권하는 소생 앞에 있다. 사회가 썩었다는 것을 알았고 행복의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안다. 과연 우리는 이 사회와 동물원에게 '굿바이'하고 안녕을 고할 수 있는가?

 

자각, 택할 수 있는 선택지의 나열. 그러나 거기서 그치지 않고 과연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라는 질문. 이것이 바로 작가가 우리에게 묻는 문제가 아닌가 싶다.

당신은 과연 동물원인 척하는 이 인간원에 안녕을 고할 수 있나요?

 

 

 

 

 

 

 

+ Recent posts